
本文 執筆要領
1. 원고는 自國語를 사용할 수 있다. 다만 본문에 인용된 원전자료는 自國語로 번역함을 원칙으로 한다.
2. 원고는 개인용 Computer에서 한글(*.hwp) 또는 Microsoft Word(*.doc) 문서로 작성함을 원칙으로 한다.
◾ 글자체는 가장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것 - 바탕체(확장), Times New Roman 등 - 으로 하되 글자 크기는 10.5p로 한다.
◾ 문단 모양은 들여쓰기 2칸, 행간 1.8, 혼합정렬 - 歐美言語일 경우에는 왼쪽 정렬 - 로 하되 자간, 장평 조정이나 진하게 등은 일체 사용하지 않는다.
◾ 다만 제목, 소제목 등은 글자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.)
3. 註釋은 脚註로 처리함을 원칙으로 한다.
◾ 주석문의 글자체는 본문과 같으며 글자크기는 9 point, 문단모양은 내어쓰기 2칸, 행간 1.5, 혼합정렬 - 歐美言語일 경우에는 왼 쪽 정렬 - 로 하되 자간, 장평 조정이나 진하게 등은 일체 사용하지 않는다.
4. 姓名은 붙여 쓰고, 字ㆍ號 등은 성명 앞에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.
예) 李滉, 退溪 李滉
5. 생몰연대는 姓名 다음에 괄호로써 표시한다.
예) 李滉(1501~1570)
6. 漢詩의 경우 번역문 밑에 原文을 표기하되 2글자 들여쓰기 한다.
예) 벼슬에서 물러오니 본 분수에 편안하건만
학문이 물러서니 늘그막이 걱정되네.
身退安愚分
學退憂暮境
7. 주석은 다음 예와 같은 형태로 작성한다.
예) * 金泰永, 「退溪의 個別 人間 自我論」, 『退溪學報』(서울: 퇴계학연구원, 2001) 제109집, pp.14~15.
* Michael C. Kalton, "Diagram of the Supreme Ultimate", To Become A Sage(New York: Columbia
University Press, 1988), pp.86~87.
◾ 原典資料引用
예) 李彦迪 『晦齋全書』, 卷5, 6a(古書 6張 앞면이라는 뜻), 「書忘齋忘機堂無極太極說後」(서울: 대동문화연구원 1980, 영인본), p.** “夫所謂無極而太極云者, 所以形容此道之未始有物, 而實爲萬物之根柢也.” (* 原文 中에 적절한 句讀標示를 한다.)
8. 參考文獻은 논문 끝에 제시하되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.
◾ 논문: 金泰永, 「退溪의 個別 人間 自我論」, 『退溪學報』(서울: 퇴계학연구원, 2001) 제109집
◾ 저서, 단행본: 琴章泰, 『退溪學派의 思想2』(서울: 集文堂, 2001)
9. 漢字는 발음을 병기함이 없이 직접 노출시켜 표기한다. 다만, 의역을 한 경우의 原文이나 발음이 다른 原文일 때에는 [ ] 안에 한자를 표기한다.
◾ 스스로 虛靈한 心體가 맑게 벽을 향해 앉아서 마음을 관조하며[向壁觀心]
10. 章節 표시는 다음과 같이 한다.
예) 1. 1) (1) ①
11. 부호 사용은 다음과 같이 한다.
◾ 『 』 : 단행본, 문집 등 (단, 英文일 경우는 이태릭체)
◾ 「 」 : 작품, 논문 편 등 (단, 英文일 경우는 ‘ ’)
◾ ʻ ʼ : 강조, 요약 또는 발췌 인용
◾ “ ” : 대화, 원문 인용
◾ [ ] : 보충역, 의역이거나 발음이 다른 원문 표기
◾ 기타 쉼표, 마침표, 느낌표, 물음표는 일반용례에 따름.
* 논문 작성 시 위 부호는 반드시 준수한다.
※ 이 ʻ논문 집필요령ʼ의 준수를 투고논문 접수의 요건으로 한다.
|